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고령사회 대한민국, 치매 통계로 본 지금의 현실

by info-abc1 2025. 8. 6.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노인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는 1,413만 명을 돌파하였고, 이에 따라 치매 등 노인성 질환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대응이 절실해지고 있다. 특히 치매 관리비용은 사회 전반에 큰 부담을 주는 요소로, 구체적인 지표와 지역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실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본 글에서는 대한민국의 노인 인구 구성, 치매 관리 비용, 연령 및 성별 분포, 그리고 지역별 수치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고령화와 치매 문제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짚어보고자 한다.

1. 대한민국 노인 인구 현황 (2024년 기준)

2024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총 14,132,874.5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체 인구 대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수치이며,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성별 구성비
    • 남성: 43.35%
    • 여성: 56.65%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의 평균 기대수명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 연령별 구성비
    • 60~64세: 4.60%
    • 65~69세: 15.63%
    • 70~74세: 12.44%
    • 75~79세: 19.81%
    • 80~84세: 21.86%
    • 85세 이상: 25.86%
      85세 이상 인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장기요양, 치매 관리 등 복지 서비스의 수요가 매우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2. 치매 관리 비용 및 중증도 현황

  • 2024년 치매 관리 비용 총액: 257조 7,550억 원
  • 1인당 관리 비용: 약 2,699만 원
    이는 단순한 의료비용을 넘어서 시설 입소, 보호자 부양, 복지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사회적 비용을 포함한다.
  • 중증도별 치매환자 비율
    • 경도: 67.7%
    • 중등도: 29.5%
    • 중증: 2.8%
      경도 환자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은, 조기 진단 및 초기 관리가 전체 비용을 줄이는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초고령사회 대한민국, 치매 통계로 본 지금의 현실


3. 지역별 치매 환자 수 및 유병률 비교

대한민국 전역에서 치매 환자 수와 유병률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래는 대표적인 지역 데이터를 요약한 표이다:

지역치매환자 수 (명)유병률 (%)
전라남도 50,855.2 7.89%
전북특별자치도 44,418.4 7.61%
충청남도 47,696.0 7.42%
경상북도 66,359.5 6.80%
강원특별자치도 37,107.5 7.13%
경상남도 69,257.1 6.80%
서울특별시 162,629.9 6.64%
광주광역시 28,869.2 6.64%
세종특별자치시 4,134.0 6.37%
 

전라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유병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농촌 및 고령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치매 유병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4. 인구 구조와 치매 대응 정책의 시사점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지역 맞춤형 치매 정책 필요: 치매 유병률이 높은 지역에는 전문 치매센터, 방문 간호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 85세 이상 노인 집중 지원: 고연령층의 비중이 가장 높으므로, 이 연령대에 특화된 의료 및 돌봄 서비스가 절실하다.
  • 여성 고령자 지원 강화: 여성 노인의 비율이 높아 여성 특화 건강관리 및 복지서비스가 중요하다.
  • 조기 진단 시스템 강화: 경도 치매 환자가 다수인 만큼, 조기 발견 후 적절한 개입이 전체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은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치매는 단순한 개인의 건강 문제가 아니라, 가족과 지역 사회, 국가 전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철저한 통계 분석과 지역별 접근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본 자료는 이러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