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치매현황 통계 요약: 유병률, 관리비용, 중증도까지 한눈에 정리

by info-abc1 2025. 7. 12.

2024년 치매현황 통계 요약: 유병률, 관리비용, 중증도까지 한눈에 정리

2024년 대한민국 60세 이상 노인인구 현황

2024년 기준 우리나라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총 14,132,874.5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체 인구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넘어 초고령사회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이 수치는 단순한 인구 통계를 넘어, 치매 예방과 돌봄 정책을 설계할 때 중요한 기준 자료가 됩니다.

노인 인구 중 여성의 비율이 56.65%로 남성보다 더 높으며(남성 43.35%), 고령일수록 여성의 비중은 더욱 증가합니다. 이는 여성의 기대수명이 더 길고, 치매 유병률 또한 여성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 구조는 치매 예방 캠페인과 보호자 지원 정책이 성별 특성을 반영해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합니다.

특히 85세 이상 고령 인구의 비중이 전체 노인 인구 중 25.86%에 달하며, 80세 이상 인구를 포함할 경우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합니다. 이는 치매 고위험군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예방 중심의 노인 건강 정책과 지역사회 중심의 인지돌봄 시스템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치매 유병률과 추정환자 수: 예방과 관리의 긴급성 부각

2024년 60세 이상 인구 중 추정 치매환자 수는 954,789.1명으로 나타났으며, 치매 유병률은 6.76%에 달합니다. 이는 고령자 15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는 뜻이며, 가족과 사회 전체에 걸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입니다.

치매는 단순히 기억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판단력, 언어력, 일상 기능 전반에 영향을 주는 질환입니다. 유병률 수치를 보면 치매는 더 이상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 ‘노화의 흔한 동반자’로 인식해야 할 시점입니다. 예방이 가능한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인지 선별검사와 건강검진, 치매안심센터의 프로그램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중앙치매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도 유병률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맞춤형 지역 정책 수립도 중요합니다. 특히 농촌 고령화가 심한 지역은 보건소와 연계한 치매 돌봄 체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동형 검진, 방문형 인지훈련 서비스 확대가 시급합니다.

치매관리비용 총 25조 원 돌파, 사회적 비용 부담 증가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치매관리비용은 무려 25조 7,755억 원(25,775,501백만 원)에 달합니다.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약 2,699만 원으로, 치매가 개인과 가정에 미치는 경제적 부담이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비용에는 병원 입원비, 요양시설 이용료, 간병비, 약제비, 복지서비스 이용 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치매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비용 격차가 크며, 가족 구성원이 직접 간병하는 경우 직업 단절과 소득 손실이라는 이중 부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치매가 진행된 후보다 예방 단계에서 개입하는 것이 훨씬 더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라는 점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 차원의 조기검진 확대, 인지건강 교육 강화, ICT 기반 치매예방앱 지원 같은 선제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중증도별 치매 분포와 지역사회 대응 전략의 필요성

치매 환자의 중증도 분포를 살펴보면, 경도 치매가 전체의 67.7%로 가장 많고, 중등도는 29.5%, 중증 치매는 2.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조기 발견과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대다수 환자의 일상생활 유지가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경도 치매 단계에서는 인지재활, 약물요법, 운동치료, 사회적 관계 유지 등이 증상 악화를 늦추는 데 효과적이며, 가족과 지역사회의 지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반대로 중등도 이상 단계로 진행될수록 요양병원 또는 시설 입소가 필요해지며, 경제적·정서적 부담도 가중됩니다.

따라서 치매 초기 단계에서부터 대상자별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며, 특히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통합 돌봄체계 구축이 핵심입니다. 마을 단위의 치매안심마을 조성, 치매 파트너 양성, 실종 노인 조기 발견 시스템과 같은 생활밀착형 정책이 실효성 있는 대응책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