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부부에 이어 크라이 베이비 열풍이 MZ세대를 강타했다. Popmart’s Crybaby spreads fast through SNS and blind box culture, boosting global sales and redefining MZ consumer trends.
목차
- MZ 세대를 사로잡은 새로운 아트토이 New Art Toy Capturing MZ Generation
 - 뽑기 문화와 리셀 시장 Blind Box Culture and Resale Market
 - 글로벌로 확산되는 인기 Global Expansion of Popularity
 - 빠른 교체 속도의 브랜드 트렌드 Fast-Changing Brand Trends
 

MZ 세대를 사로잡은 새로운 아트토이 New Art Toy Capturing MZ Generation
최근 SNS를 통해 급속도로 확산된 크라이 베이비는 중국 완구기업 팝마트(Popmart)의 아트토이다. 태국 출신 디자이너 몰리가 만든 이 캐릭터는 "울어도 괜찮아"라는 메시지를 담아 MZ세대에게 위로템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Crybaby, created by Popmart, has quickly taken over social media feeds. Designed by Thai artist Molly, this crying character delivers the message "It's okay to cry," making it a healing item especially loved by MZ consumers.
뽑기 문화와 리셀 시장 Blind Box Culture and Resale Market
크라이 베이비의 가장 큰 매력은 블라인드 박스 시스템이다. 어떤 캐릭터가 들어 있는지는 열어보기 전까지 알 수 없어 소비자들이 여러 개를 구매한다. 희귀한 시크릿 에디션은 리셀 시장에서 정가의 두세 배에 거래되며 작은 럭셔리로 자리 잡고 있다.
The biggest charm of Crybaby is its blind box system. Since buyers don’t know which figure they’ll get until opening, many purchase multiple boxes. Rare “secret editions” are resold at double or triple the retail price, becoming a form of small luxury.
글로벌로 확산되는 인기 Global Expansion of Popularity
팝마트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13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04% 증가했고, 해외 매출 비중은 40%에 달했다.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뿐 아니라 일본, 홍콩에서도 인기를 끌며 글로벌 아트토이 브랜드로 성장 중이다.
Popmart’s revenue surged 204% year-on-year in the first half, reaching 13.9 billion yuan, with overseas sales accounting for 40%. From Southeast Asia to Japan and Hong Kong, Crybaby is cementing its status as a global art toy brand.
빠른 교체 속도의 브랜드 트렌드 Fast-Changing Brand Trends
업계는 라부부에서 크라이 베이비로 이어지는 유행을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브랜드 교체 주기의 가속화로 본다. SNS에서 강한 비주얼, 힙한 감성, 짧아진 유행 주기가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Industry experts see the shift from Labubu to Crybaby not as a passing fad but as part of an accelerated brand replacement cycle. Strong visuals, hip vibes, and shortened trend lifespans driven by social media are key factors.